-
[Pinpoint] quickstart Windows(윈도우) 환경 실행하기내가 공부하고 싶은 IT/프로젝트 2020. 8. 9. 21:05
안녕하세요, 이번에 '오픈소스 컨트리뷰톤'에 참여하게 되어 pinpoint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빠르게 세팅하는 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윈도우 환경에 대한 설명이 조금은 부족하고 네이버에서 만든 오픈소스이지만 설명은 영어로 대부분 되어 있어 한국어로 정리하는 느낌으로 하려고 합니다.
1. pinpoint
naver/pinpoint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for large-scale distributed systems. - naver/pinpoint
github.com
pinpoint github 주소입니다. 최신 코드 및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npoint | Leading Open-Source APM
Tweets by Pinpoint_APM Is your application created with PHP? Pinpoint has started to support application written in PHP. Check-out our php-agent repository. Looking for place to ask questions? Questions and FAQ Introduction Pinpoint is an APM (Application
naver.github.io
pinpoint에 대한 설명 페이지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2. 설치파일 다운 받기
1) github으로 갑니다.
평소라면 git clone을 하거나 다운 받겠지만 오픈소스의 경우 최신 master branch의 소스들은 안전한 버전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2) stable 버전
검증이 된 버전인 v2.0.3 링크로 갑니다. 물론 시간에 따라 업데이트가 되니 추후에는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과거의 stable version 또한 branch를 통해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물론 저는 2.0.3 버전으로 진행하겠습니다.
2.0.3 release notes 페이지 제일 하단으로 이동합니다.
Souce code라는 zip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이것만 있으면 됩니다.
3. 설치하기 전 준비
1) JDK 설치
pinpoint를 설치하기 전에 JAVA_HOME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jdk 6, 7, 8, 9 모두가 필요합니다. 하나라면 없으면 maven build가 실패합니다.
jdk 6, 7은 recommended 링크를 통해서 접속해 다운로드 합니다. 다운로드 위치는 크게 상관은 없지만 하나의 폴더에 위치 시켜주는게 좋습니다.
저는 C드라이브에 java라는 폴더를 생성 후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2) 환경변수 설정
[내 PC] 우클릭 -> [속성] ->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 변수]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이런식으로 JAVA_HOME부터 JAVA_9_HOME까지 생성해줍니다.
그럼 설치 준비가 끝납니다.
4. 설치하기
1) maven build
'mvnw.cmd' 파일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cmd를 열은 후
mvnw.cmd install -DskipTests=true
라고 입력합니다. 빌드가 진행되는 시간은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JAVA_HOME 설정 등이 잘못되면 초반에 에러가 발생하고 그렇지 않다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빌드가 됩니다.
2) Hbase 설치 및 세팅
hbase를 설치합니다. 설치위치는 'pinpoint\quickstart' 에 압축파일 다운 및 압출 풀기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위의 파일을 다운 받을 경우 폴더명이 'hbase-1.3.6.bin' 과 같이 되어 있을 텐데 폴더 명을 'hbase'로 수정합니다. 'hbase' 안에 폴더도 동일하게 'hbase'로 수정합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pinpoint\quickstart\hbase\hbase' 라는 경로가 완성됩니다.
3) Hbase 시작 및 초기화하기
cmd를 pinpoint 위치로 이동한 후 명령어를 쳐야합니다.
quickstart\bin\start-hbase.cmd
hbase를 시작하는 명령어입니다. cmd 창이 뜨면서 쭉 진행이 되고 중간에 오류 메시지가 뜰 수도 있는데 일단 무시합니다. 그 상태로 cmd 창을 닫지 말고 초기화 시키는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quickstart\bin\init-hbase.cmd
hbase를 초기화하면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4) collector, testapp, web 시작
quickstart\bin\start-collector.cmd
quickstart\bin\start-testapp.cmd
quickstart\bin\start-web.cmd
차라대로 입력하면 끝입니다.
'내가 공부하고 싶은 IT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 대학 연합 커뮤니티(상명+단국+백석+호서대)(기획편) (0) 2019.12.29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기획편) (0) 2019.12.13 음성 노트 만들기(AI Voice Note) - LISN (1) 2019.12.10